군위군은 대구공항을 이용한 2017~2019년 사이, 3년간의 이용객 특성 분석을 위해 (재)한국산업경제개발원에 ‘대구공항 이용객 특성 조사 및 활용방안 연구 용역’을 의뢰했다.
용역 결과 공항수요 요인으로는 배후인구 규모, 운항노선 및 운항빈도, 공항시설, 이용 편의성을 꼽으며 대구공항은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였기에 발전이 가능했던 것으로 분석하였다.
대구공항의 이용객은 2019년 전체 이용객 467만 명 중 입출국자는 276만 명으로 약60% 수준이며 이중 85.5%가 내국인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화물운송은 중추공항인 인천공항에는 훨씬 못 미치는 전체 대비 0.76% 불과하지만, 거점공항으로는 김포, 김해 다음이 대구공항 순으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이 나타났다.
용역결과 신공항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높은 고객층은 접근성이 향상되는 경북지역에 거주하는 남성과 고령층(60, 70대)으로 나타난 반면, 교통 여건이 비교적 우수한 지역(포항, 성주, 경주, 경산, 대구시)에 거주하는 여성과 20~30 연령층에서 다소 다른 공항을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공항 이용객이 고령층 내국인이 주류를 이루는 점에 착안하여 향후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은 가족 단위와 고령층, 안전한 여객 서비스, 동남아시아 지역에 특화된 노선, 지역관광 연계상품을 개발하여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이 요구된다.
신공항의 배후인구는 60km 반경 347만 명으로 지금의 대구공항보다 약 4만 명 정도가 적고, 접근성은 일부지역에서 이동거리는 단축되나, 이동시간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도로 및 대중교통 확충을 통한 접근성 강화가 절실하다.
신공항이 거점공항의 역할 수행을 하는 동시에 여행 목적과 국제선 이용객의 수요에 맞는 노선 및 시설을 강화하여 전략적으로 경쟁우위를 갖추고 타 공항과 차별화된 포지션을 확보하도록 해야 한다.
군위군 관계자는 “민항 활성화를 통해 지역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민항의 규모와 시설만큼 공항철도를 비롯한 광역교통망 SOC 확충이 시급한데 군 공항과 함께 이전되어 전투기 소음을 안고 살아가야하는 점을 감안하여 예타면제 등 국가적 배려가 있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