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21통신-경기서부] 추현욱 기자 = 본격 백신 보급으로 2020년을 물들였던 코로나19 악몽 극복의 기대감이 전 세계적으로 고조되는 가운데,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2일 2021년 글로벌 경제와 비즈니스 활동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일곱 가지 특징을 V.A.C.C.I.N.E으로 제시하였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본격화와 함께 V자형 세계경제 회복 기대가 커지고 있다.
세계은행(WB)의 2021년 세계경제전망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경제는 –4.3%의 역성장에서 올해 4%의 경제 반등이 전망되며, 모건스탠리, 골드만삭스 등 민간 투자은행은 이보다 더욱 낙관적인 6%대의 확연한 V형 경제성장을 예고했다.
이처럼 백신 보급 추이가 세계경제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백신 접종 시나리오에 따른 경제성장률이 미국의 경우 최대 4.8%에서 최저 1.8%까지 큰 차이를 보일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작년 하반기부터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생산을 회복한 중국이 7.9% 성장으로 세계 경제성장을 견인하며, 올해 3.6% 성장이 전망되는 유로존은 작년 세계 최저수준 침체(-7.4%)로부터의 반등효과가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을 제외한 신흥개도국의 경우 백신 보급 속도가 낮아 신흥국 성장률(3.4%)이 G20국가(4.7%)보다 낮은 상황이 전개될 전망이다.
동시에 코로나 타격이 적은 베트남(6.7%), 말레이시아(6.7%) 등 아시아 일부 신흥국은 새로운 밸류체인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국제비즈니스의 완전한 정상화는 2021년 하반기에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 </span>주요국 경제성장율 전망>
구분
세계평균
미국
중국
유로존
2020
2021
2020
2021
2020
2021
2020
2021
세계은행
-4.3%
4%
-3.6%
3.5%
2%
7.9%
-7.4%
3.6%
모건스탠리
-3.5%
6.4%
-3.5%
5.9%
2.3%
9%
-7.2%
5%
* G20 경제성장률(출처:OECD): 2020(-3.8%) → 2021(4.7%)
바이든 행정부 출범으로 미국이 국제통상체제를 주도하는 선도력을 회복하면서 자유진영간 동맹이 강조될 전망이다.
우선 미국의 WTO를 비롯한 다자체제 복귀로 일방적인 관세부과를 통한 무역보복 등 양자적 조치가 아닌, 다자시스템 하에서의 예측가능한 통상질서가 강화될 전망이다. 또한 미국이 WTO 상소기구 재정비를 비롯한 개혁에 실질적으로 동참하는 한편, 중국과의 양자전이 아닌 우호진영과의 연합전선을 구축하여 공동 대응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일본, 호주 등 아태지역 동맹국간 관계와 멕시코·EU 등 악화되었던 동맹국과의 관계 회복 노력도 점쳐진다. 뿐만 아니라 올해 미국은 CPTPP(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재협상 등 통상협정 참여에도 관심을 기울일 것으로 보이며 이 때, 작년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협상과 같이 노동·환경 기준의 대폭 강화가 예상된다. 다만, 코로나19에 따른 美 국내경제 회복 우선순위에 따라 대외통상협정은 후순위로 밀릴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망된다.
< </span>바이드노믹스 국제통상정책 >
다자주의
다자체제 회복
WTO를 비롯한 다자시스템 지원, 다자질서 內 국제무역법으로 복귀
일방적인 관세부과를 통한 무역보복 조치 중단
중국정책
동맹 및 우호진영과의 연합전선으로 중국 견제
미vs중 대결구도에서 세계vs중국 노선으로 전환
한국, 일본, 호주 등 아태지역 동맹국의 중요성 재점화
환경, 인권 등 연합전선을 관통하는 공동이슈로 압박
무역협상
무역협상에서 환경·노동기준 강화
환경·노동기준 강화된 후 통과된 USMCA 모델 적용
CPTPP 재협상 가능성 언급했으나, 제조업·일자리 회복 등 국내경제 현안으로 당분간 대외통상협정 추진 가능성 없음
코로나19 강타 이후 ‘20년 말 글로벌 부채가 역사상 최대치인 약 277조 달러 규모에 도달한 가운데,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집행한 주요국의 공공부채가 크게 늘어난다.
미국 등 선진경제의 2021년 국내총생산 대비 정부부채는 2019년 대비 20.3%포인트 증가한 125.6%에 육박할 전망이다. 또한 지난해 3월부터 시작된 美 연준의 제로금리를 위시하여 전 세계적인 역사상 최저금리 현상이 올해도 지속될 전망이다.
제로금리와 지속적인 정부지출 확대가 유지됨에 따라 글로벌 유동성 과잉으로 인한 부채 위기가 우려된다. 궁극적으로 금리상승 및 긴축의 시간이 다가오면 기초체력이 부족한 국가가 부담할 사회, 경제적 고통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