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울산시, 교통 빅데이터 맞춤형 실증 서비스 개발 착수 - 교통 빅데이터센터 구축, 데이터 기반 교통 정책 수립 지원 우정석 기자
  • 기사등록 2020-08-20 08:05:12
기사수정

(뉴스21통신/우정석기자) = 울산시는 820일 오후 4시 본관 7층 상황실에서 교통 빅데이터 플랫폼 센터 구축사업추진상황 보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보고회는 울산시와 한국교통연구원(사업주관기관), 한국정보화진흥원(전담기관), 울산정보산업진흥원(참여기관) 등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하고 사업 추진배경과 사업개요, 실증서비스 개발 추진방향에 대한 보고와 질의응답 등이 이어진다.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데이터 축척·유통 활성화를 위해 총 1,370 원의 사업비를 들여 지난 20198월부터 오는 202112월까지(29개월) 금융, 환경, 통신, 교통 등 10개 분야의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울산시는 한국교통연구원, 한국도로공사, 아이나비시스템즈 등 13개 기관과 조합을 구성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통분야공모에 선정돼 해당 사업을 추진 중이다.

울산시는 13개 참여 기관 중 버스정보시스템(BIS), 지능형교통체계(ITS), 신호제어 등의 실증서비스 개발을 맡았고, 18억 원(국비 9, 지방비 9)을 투입하여 지난해 8월부터 교통 빅데이터센터 연계 시스템 구축을 시작으로 본격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사업 내용은 교통 빅데이터 표준화 및 플랫폼 연계 데이터 기반 교통 정책 지원을 위한 실증서비스 개발 빅데이터 전문인력 양성 및 중소기업 컨설팅 지원 등이다.

사업추진 1년차인 지난해에는 차량검지기, 버스카드, 신호제어 데이터 등 교통 빅데이터 29종을 발굴하여 표준화하고 한국도로공사(플랫폼)와 자동연계 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2년차인 올해는 콜택시, 정류장 데이터 등 5종을 추가로 표준화하여 랫폼에 연계하고, 빅데이터 분석 실증서비스 4건을 개발하여 교통정책 수립에 활용할 계획이며, 전문인력 양성과 중소기업 컨설팅지원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빅데이터 분석 실증서비스 4건은 시내버스 노선체계 개편 기초자료 분석 장애인콜택시 수요분석 및 배차 개선 빅데이터 기반 노인보호구역 선정 교통환경 개선을 위한 관광동향 분석 이다.

내년에도 자율주행 관련 데이터 등 추가 데이터를 표준화해 연계하고 공공과 민간의 수요가 높은 빅데이터 활용 서비스를 적극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승대 기획조정실장은 교통 빅데이터 플랫폼과 센터는 디지털 제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댐의 핵심 인프라이다.”면서 울산형 뉴딜사업과 연계해 시민 누구나 편리하게 활용 가능한 교통 빅데이터 센터를 구축해 나갈 이라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13479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스미싱 범죄 ‘시티즌코난’, ‘피싱아이즈’ 앱 설치로 예방하자!
  •  기사 이미지 ‘오물 풍선’ 살포에 北 주민들 “창피스러워”
  •  기사 이미지 스미싱! 예방 앱 설치로 막을 수 있습니다.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