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대전시 음성인식 인공지능 기술로 위험 사각지대 해소한다 - 중리동 만남어린이공원에 음성인식 위급상황 대응시스템 구축 - - 인공지능 기반 사회문제해결형 기술사업화 성공사례 - 김순남
  • 기사등록 2020-07-10 14:08:28
  • 수정 2020-07-10 14:17:44
기사수정



대전시는 대덕구 중리동 만남어린이공원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시킨음성인식 위급상황 대응시스템을 구축했다고 10일 밝혔다.

 

음성인식 위급상황 대응시스템은 공원(학교 등)에서 위급상황이 발생 했을 때 살려주세요, 도와주세요라고 외치면, 폐쇄회로텔레비전(CCTV)이 자동으로 상황을 감지하고 촬영해 대전시통합관제센터(유성구 봉명동)로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대전시통합관제센터 모니터에는 현장영상이 팝업으로 뜨기 때문에 관제센터 요원의 빠른 인지와 신속한 112, 119 상황 대처가 가능하다.

 

이 사업은 대전시가 4차산업혁명기술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 위탁해 추진한 사업으로, 대전시가 사업비를 지원하고, 대덕구가 실증 장소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사업화에 성공한 사례다.

 

앞으로 보노아이씨티는 이번에 입증된 인공지능(AI)기술을 학교를 대상으로 테스트베드를 거친 후 관공서, 기업체 및 해외 판로 개척에 나설 계획이다.

 

대전시는 출연연, 대학의 인공지능 기술을 중소기업이 이전받아 사업화에 성공하면서 사회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매년 5~6개 기업에 대해 2억 원 내외의 사업비를 지원하고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13001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경력단절여성, “양성평등 활동가로의 새로운 시작 기대”
  •  기사 이미지 예산군, 제69회 현충일 추념식 개최
  •  기사 이미지 예산군, 제12회 자암김구 전국서예대전 공모 마감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