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장관 조명래)는 ‘굴뚝 자동측정기기(TMS)’가 부착된 전국 631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2019년도 대기오염물질 7종*의 연간 배출량을 조사한 결과, 총 27만 7,696톤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오염물질 7종 :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먼지, 불화수소, 암모니아, 일산화탄소, 염화수소
이는 전년(2018년) 배출량 33만 46톤보다 15.9%인 5만 2,350톤이 감소한 결과다.
※ (´15년) 40만 3,537톤 → (´16년) 40만 1,677톤 → (´17년) 36만 1,459톤 → (´18년) 33만 46톤 → (´19년) 27만 7,696톤
감축률 15.9%는 전년 감축률 8.7%* 대비 7.2%p 상승한 수치며, 2019년 대기배출허용기준 강화, 노후화력발전소 가동 중지 등 미세먼지 저감 조치의 결과로 분석된다.
* `18년 TMS 사업장의 배출량이 `17년 대비 8.7% 감소
대기오염물질별, 업종별, 시도별 상세한 배출량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span>① 대기오염물질별 배출량 >
대기오염물질별 배출량(총배출량 27만 7,696톤) 중에서 질소산화물 19만 4,795톤(70%) > 황산화물 7만 4,200톤(27%) > 먼지 5,767톤(2%) > 일산화탄소 2,327톤(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세먼지 주요 원인물질로 알려진 먼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은 최근 5년간 꾸준하게 감소하는 추세다.
2019년 먼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2015년 40만 892톤보다 31%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 (´15년) 40만 892톤 → (´16년) 39만 8,992톤 → (´17년) 35만 8,313톤 → (´18년) 32만 6,731톤 → (´19년) 27만 4,762톤
<</span>② 업종별 배출량 >
업종별 배출량은 발전업 11만 2,218톤(40%) > 시멘트제조업 6만 3,587톤(23%) > 제철제강업 5만 7,871톤(21%) > 석유화학제품업 2만 6,933톤(10%)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2018년) 대비 저감량으로 보면 발전업 △33,249톤 > 석유화학제품업 △8,367톤 > 제철제강업 △5,512톤 > 시멘트 제조업 △3,517톤 순으로 오염물질이 많이 줄었다.
특히, 발전업의 경우 노후 화력발전소 가동중단 등 지속적인 미세먼지 저감 활동으로 2019년 배출량이 2015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 (´15년) 21만 8,226톤 → (´16년) 20만 7,873톤 → (´17년) 16만 8,167톤 → (´18년) 14만 5,467톤 → (´19년) 11만 2,218톤
<</span>③ 시도별 배출량 >
시도별 배출량은 충청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