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올 한해 방송ㆍ스마트미디어 분야 정책지원사업의 주요 성과를 공유하고 5세대(5G) 이동통신 시대 방송ㆍ미디어 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을 모색하는 「2019 차세대 미디어 대전」 행사를 11월 13일(수)부터15일(금)까지 3일 간 콘래드 서울(여의도, 11.13~14)및 빛마루방송지원센터(일산, 11.15)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5회째 개최되는 차세대 미디어 대전은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원장 서석진)과 한국전파진흥협회(회장 하현회)가 공동 주관하며,
특히, 올해는 ‘5G에서 Z세대까지, 방송미디어 산업의 미래’라는 주제로, 개막식, 방송·미디어 미래전략 콘퍼런스와 함께, 차세대미디어 국제교류회, 기획역량강화 워크숍, 투자설명회,국제 민간교류협력 세미나, 빛과 색에 대한 영상미학교육,전시부스 운영 등 다양한 부대행사들로 구성·진행된다.
기조연사인 와이낫미디어의 이민석 대표는 ‘디지털 세상의 새로운 미디어 콘텐츠’를 주제로 디지털 방송환경에서 콘텐츠 제작ㆍ유통 환경 변화를 점검하고 뉴미디어 유통환경 혁신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마지막 기조연사는 영국의 대표적 콘텐츠제작사 all3media의 아시아태평양 총괄부사장인사브리나 듀게(Sabrina Duguet)로,‘5G시대의 글로벌 미디어 콘텐츠 유통전략’을 주제로 콘텐츠 이용행태 변화에 대응한 글로벌 미디어 기업의 전략과 다양한 해외시장 개척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다.
콘퍼런스 전문세션에서는 ‘5G시대 새로운 미디어 콘텐츠 전략’, ‘글로벌 경쟁 환경 및 사업화 전략’, ‘차세대 미디어와 새로운 콘텐츠’ 등 세부 주제별로 국내ㆍ외 전문가 22명을 초빙하여 강연을 통해 방송미디어 산업의 현황과 미래를 구체적으로 조망해 본다.
한편, 올해 새롭게 준비한 토크콘서트에서는 배우, PD 등 방송 현업인들이 패널로 참여하여, 미디어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한 Z세대*가 선호하는 콘텐츠 제작 및 미디어 플랫폼의 변화 사례를 소개하고, 콘텐츠 해외진출 전략도 모색하는 기회를 가진다.
방송콘텐츠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해 ‘포맷(format)* 지원작 제작발표회’, 다큐멘터리ㆍ숏폼(short form)** 분야 해외 투자유치를 위한 ‘기획역량강화 워크숍’, 금년도 정부지원작(기획개발분야 15편)에 대한 방영권 판매 및 국제공동제작 유치 등을 위한 ‘투자설명·상담회’도 진행된다.
아울러, 한ㆍ중 방송콘텐츠 분야 민간단체*가 한 자리에 모여 양국의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방송분야 국제 민간교류협력 세미나’와 UHD 콘텐츠 제작역량 강화를 위해 해외 촬영 전문가를 초빙하여 ‘빛과 색에 대한 영상미학 교육’도 제공한다.
과기정통부 장석영 정보통신정책실장은 개회사를 통해 “5G 상용화 등 기술발전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로 글로벌 방송ㆍ미디어 시장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방송ㆍ미디어 산업이 혁신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전략적인 접근과 협력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하고,
“정부는 미디어 신기술을 적용한 콘텐츠ㆍ서비스 개발 지원, 해외진출 다각화, 전문인력 양성 및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등 방송ㆍ미디어 산업 진흥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강서양천교육지원청, 지역연계 교육과정 지원 위해 3가지 사업 진행
                        
                        2022 개정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삶과 연계한 깊이 있는 배움을 위해 지역연계 교육과정 운영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특별시강서양천교육지원청(교육장 이의란)은 학교의 지역연계 교육과정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3가지 사업을 진행하였다.  ① 지역의 자원을 발굴하여 학교에 안내하는 연재물 「그곳이 알고싶다」 제작 ② ...
                            강서양천교육지원청, 지역연계 교육과정 지원 위해 3가지 사업 진행
                        
                        2022 개정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삶과 연계한 깊이 있는 배움을 위해 지역연계 교육과정 운영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특별시강서양천교육지원청(교육장 이의란)은 학교의 지역연계 교육과정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3가지 사업을 진행하였다.  ① 지역의 자원을 발굴하여 학교에 안내하는 연재물 「그곳이 알고싶다」 제작 ② ...
                    
                 찰스 3세, 앤드루 왕자 왕실 칭호 박탈
                        
                        잇따른 성추문으로 논란이 돼 온 찰스 3세 영국 국왕의 동생 앤드루 왕자가 왕실 칭호를 잃게 됐다. BBC와 AP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현지시간 30일 버킹엄궁은 성명을 통해 “찰스 3세 국왕이 앤드루 왕자의 칭호, 지위, 훈장을 박탈하기 위한 공식 절차를 개시했다”고 발표했다.성명은 “앤드루 왕자는 앞으로 ‘앤드루 마운...
                            찰스 3세, 앤드루 왕자 왕실 칭호 박탈
                        
                        잇따른 성추문으로 논란이 돼 온 찰스 3세 영국 국왕의 동생 앤드루 왕자가 왕실 칭호를 잃게 됐다. BBC와 AP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현지시간 30일 버킹엄궁은 성명을 통해 “찰스 3세 국왕이 앤드루 왕자의 칭호, 지위, 훈장을 박탈하기 위한 공식 절차를 개시했다”고 발표했다.성명은 “앤드루 왕자는 앞으로 ‘앤드루 마운...
                    
                 북한 표적 2시간 단위 감시 체계 완성...한미 공동개발 정찰위성 5호, 내달 2일 발사
                        
                        제공 군의 중대형 정찰위성 확보를 목표로 한 ‘425사업’이 마지막 단계에 들어섰다. 국방부는 31일 “군 정찰위성 5호기가 다음달 2일 오후 2시(현지시간 기준)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될 예정”이라고 밝혔다.정찰위성 5호기가 성공적으로 궤도에 안착하면, 한국군은 총 5기의 정찰위성을 군집 ..
                            북한 표적 2시간 단위 감시 체계 완성...한미 공동개발 정찰위성 5호, 내달 2일 발사
                        
                        제공 군의 중대형 정찰위성 확보를 목표로 한 ‘425사업’이 마지막 단계에 들어섰다. 국방부는 31일 “군 정찰위성 5호기가 다음달 2일 오후 2시(현지시간 기준)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될 예정”이라고 밝혔다.정찰위성 5호기가 성공적으로 궤도에 안착하면, 한국군은 총 5기의 정찰위성을 군집 ..
                    
                 정동영 통일부 장관 “머지않아 결실 맺을 것”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31일 “한반도 평화를 향한 우리의 간절한 마음과 성실한 노력이 머지않아 결실을 맺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밝혔다.장관은 취임 100일을 맞아 통일부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겨우내 얼어붙은 얼음장이 하루 아침에 녹지 않듯 우리 앞에 놓인 남북관계의 얼음장은 아직 단단하다”라며 이같이 말.
                            정동영 통일부 장관 “머지않아 결실 맺을 것”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31일 “한반도 평화를 향한 우리의 간절한 마음과 성실한 노력이 머지않아 결실을 맺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밝혔다.장관은 취임 100일을 맞아 통일부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겨우내 얼어붙은 얼음장이 하루 아침에 녹지 않듯 우리 앞에 놓인 남북관계의 얼음장은 아직 단단하다”라며 이같이 말.
                    
                 억새밭
                            억새밭
                        
                        
                    
                 부사
                            부사
                        
                        
                    
                 미국 빅테크, AI 인프라에 3000억 달러 쏟아붓는다…“수익화는 여전히 불확실”
                        
                        미국 주요 기술기업들이 인공지능(AI) 인프라 확대를 위해 천문학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다만 시장에서는 이 같은 투자 확장이 실제 수익으로 이어질지에 대해 신중한 시각을 보이고 있다.29일(현지시간) 발표된 3분기 실적에 따르면 메타, 알파벳(구글 모회사),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주요 빅테크 기업들은 모두 AI 데이터센터와 반도체 .
                            미국 빅테크, AI 인프라에 3000억 달러 쏟아붓는다…“수익화는 여전히 불확실”
                        
                        미국 주요 기술기업들이 인공지능(AI) 인프라 확대를 위해 천문학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다만 시장에서는 이 같은 투자 확장이 실제 수익으로 이어질지에 대해 신중한 시각을 보이고 있다.29일(현지시간) 발표된 3분기 실적에 따르면 메타, 알파벳(구글 모회사),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주요 빅테크 기업들은 모두 AI 데이터센터와 반도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