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KBS뉴스 영상캡처
북한 배후로 추정되는 해킹 조직이 스마트폰과 PC를 초기화해 장악한 뒤 주변 지인들에게 악성코드를 무차별 전송하는 공격이 현실화됐다.
지난 9월 북한 인권운동가 A 씨의 스마트폰이 초기화되면서 연락처 등 모든 데이터가 삭제됐다. 이어 A 씨의 SNS 메신저 계정을 통해 지인들에게 악성코드가 퍼졌다.
국내 보안업체는 해킹 배후로 북한 해커 그룹 ‘코니’를 지목했다.
장기간 A 씨의 스마트폰과 PC에 침투해 구글 등에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위치 정보와 웹캠을 활용해 피해자의 동선을 실시간 확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인들과의 연락까지 차단해 2차 피해를 유발했다.
순천향대 염흥렬 교수는 “일시에 공격이 감행될 경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개인이나 조직에 상당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2단계 인증을 적용하고, 비밀번호 자동 저장을 피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김성 장흥군수, 장흥읍·부산면서 ‘군민과의 대화’ 진행
뉴스21통신 동영상 등록 방법

목록으로
용인특례시 기흥구, 터널 화재 대비 합동훈련
이상일 용인특례시장, 수지구 공동주택 입주자대표들과 소통의 시간 가져
민선8기 김포시, K-뷰티·K-푸드 수출 관문 뚫는다
김포시, 2025년 도시계획위원회 역량강화 연찬회 개최
흥천면 ‘마음 온(溫;ON) 행복상담소’ 운영
동대문구, 다섯 번째 서울형 키즈카페 ‘새샘공원점’ 개관
동대문구, 장안종합사회복지관 위·수탁 협약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