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에서 의학이 발달되기 시작한 이후로 우리에게 이름이 가장 많이 알려진 의인(醫人)을 들라면 허준을 들 수 있다. 허준이 이렇게 많이 알려진 이유는 그의 저서인 (동의보감(東醫室鑑))이 우리나라의 의학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동의보감)을 저술한 허준에 관해서는 잘 알려진 이름에 비해 그의 생애에 관해 찾아볼 수 있는 기록들은 많지 않다. 다만 허준의 가문에 전해져 오는 양천허씨세보(陽川許氏世譜)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상의 단편적인 양평군 허준의 영정기록에 의지하여 그의 생애를 유추할 수 있을 뿐이다. 허준의 생애에 관한 것들 중 전설적인 부분은 배제하고 단지 확인할 수 있는 기록에 의한다면 청소년기의 기록이 없어 그의 의학수업 과정에 관해서는 확실히 알 수가 없다.
허준은 1546년 3월5일에 허론(許論)의 차남으로 출생했다. 그의 증조부 지(芝)는 영월군수(寧越郡守)를 지냈고, 조부(祖父) 곤(琨)은 무과(武科)에 등과(登科)하여 경상우수사를 지냈으며, 부친(父親) 론(論)도 역시 무관(武官)으로 용천부사(毫川府使)를 역임한 무인(武人) 가정의 서자(庶子)로 태어났다. 그가 서출(庶出)이라는 기록은 없으나, 당시에는 중인계급이 진출하던 의인(醫人)의 길을 택한 것으로 보아 추측할 수 있고 또한 (조선왕조실록)의 기록 중에 그가 당상관(堂上官)의 위계(位階)를 받게 되었을 때 조정의 간관(諫官)들의 반대가 심했었음을 보아서 알 수 있다. 그에 관한 (조선왕조실록)상의 기록은 선조2년 (1569년)부터 광해군7년 (1615년)까지 보이는데, 여기서 허준의 생애연구에 의미가 있는 기록들만 선별해서 연대순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569년 6월 (선조2년)에는 유희준의 부인(婦人)의 설종(舌腫)을 치료한 기록이 처음으로 보이고, 1570년 (선조3년)에는 선조의 체병(滯病)을 치료했다. 1578년에는 선조가 보주동인유혈침후도철을 허준에게 하사했다는 기록이 있다. 1581년 5월에는 중국 육조시대(中國 六朝時代)의 고양생(高陽生)이 지은 찬도맥결(纂圖脈訣)을 교정하여 찬도방론맥결집성(纂圖方論脈訣集成) 4권을 저술했다.
1587년 12월에는 선조의 병을 고침으로 해서 호피(虎皮)를 하사 받았다. 1590년 12월에는 두창(痘瘡.천연두)이 전국적으로 유행하여, 왕세자(王世子)의 제(弟)가 죽고, 왕세자(王世子)도 증세가 매우 위중하여, 거의희망이 없었는데 이를 허준이 치료하였다. 이에 선조가 허준을 당상관(堂上官)으로 특별히 명(命)하여 승진시켰다. 그러나 사헌부(司憲부)와 사간원(司諫원)에서 허준의 특진을 취소시키기를 청하였다.
1592년 (선조25년)에는 임진왜란이 일어나니 허준은 선조의 천리(千里)피난길에 처음부터 끝까지 왕의 곁을 떠나지 아니하고 왕을 호종(雇從)하였다. 그리하여 그 공(功)을 기록하게 하였다. 1596년에는 왕세자의 이질이 오래된 것을 허준이 치료하여 다시 선조가 허준에게 가자하였으나 사간원 등에서 중인(中人)출신에게 동반(東班)은 외람하다 하여 개정하기를 청하였다. 이해에 선조의 명으로 (동의보감)의 편찬을 시작했다 1602년에는 두창의 치료를 위해 어의 허준에게 명하여 언해두창집요 2권을 편찬케 하였다. 또한 언해구급방을 간행하였다.
1604년에는 충근정량호성공신 삼등에 봉하였다. 1606년 정월에는 양평군 정일품 보국숭록대부를 가자하였으나 중인출신에게 당상관의 위계를 줌이 불가하다는 반대가 심하여 다시 취소되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선조는 수차례에 걸쳐서 허준을 옹호하고 있는 기록들을 볼 수 있다. 1608년 정월에 언해태산집요를 개편했다. 이해에 수년간 병을 앓아오던 선조가 승하했는데 허준은 당시 수의였다. 따라서 약의 경중을 가리지 않고 태만하게 투약해서 왕의 병을 고치지 못했다 하여 조정에서는 허준에게 책임을 물어 관작을 삭탈하여 파직시키고 적소에 유배시켰다.
1609년 광해군 원년에는 그동안 왕의 의관으로서의 허준의 공을 기려서 다시 방환을 명했다. 이때에도 조정에서는 반대가 많았으나 왕은 세자시절부터 허준에게 질병치료를 많이 받아온 고마움과 당시에 노련한 의관이 없음을 들어 간관들의 반대를 물리쳤다. 그리하여 그해 11월에는 다시 수의가 되었다. 1610년 8월(광해군 2년)에 15년간의 연구 노력끝에 총 25권 25책의(동의보감)을 완성했다. 이에 왕은 내의원에 명하여 인출광포케 했다. 그리고 허준의 공로를 치하하고 숙마일필을 하사했다.
1613년 2월에 허준이 저술한 신찬벽온방 1권을 내의원에서 간행했다. 이해 10월에는 전염병이 유행했는데, 반진이 가을부터 치열하게 발생하여 많은 사람이 죽었다. 그런데 이 전염병의 증세는 그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증세였다. 이에 왕은 허준에게 이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의서를 찬술케하여, 그해 12월에는 방역신방 1권을 내의원에서 간행하였다. 이때의 전염병을 당독역이라 불렀다. 같은해 11월에 (동의보감) 25권 25책이 훈련도감활자로 개간되었다. 1615년 (광해군7년
고창군, ‘제5회 전북특별자치도 산림환경대상’ 수상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이 지난 25일 오후 전주시청 회의실에서 개최된 ‘2025 산림환경대상’ 시상식에서 자치 부문을 수상의 영예를 않았다. ‘산림환경대상’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여 지구 온난화 방지에 기여한 공로가 큰 개인이나 단체에 수여되는 상이며, 이번 시상식은 대한민국 산림환경대상 위원회가 주최하고 전북특별...
정읍시, 민생회복 소비쿠폰 30일 종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급한 ‘1·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사용 기한이 오는 30일로 다가왔다.시는 기한이 지나면 남은 잔액이 자동으로 소멸되는 만큼, 시민들에게 잊지 말고 사용할 것을 거듭 당부했다. 정읍시가 지난 7월부터 지급한 소비쿠폰은 총 320억원 규모로, 지역 자금의 역외 유출을 막고 ...
울산여자상업고, 한국생산성본부와 산학협력 맞손
[뉴스21 통신=최세영 ] ▲ 사진제공=울산광역시교육청울산 남구 울산여자상업고등학교(교장 하해용)는 27일 한국생산성본부(KPC)와 산학협력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급변하는 산업 환경 속에서 학생들에게 실무 중심의 자격 교육과 시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특성화고의 직업교육 역량을 한 단계 높이고자 마련됐다. 협약에 따라 ...
정읍시, 홍수 위험 '오단소하천 유정교' 철거 완료, 준공 40년만에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가 27일 집중호우 시 하천 흐름을 방해해 홍수 위험을 키웠던 오단소하천 내 유정교 철거 공사를 완료했다. 시는 이번 철거를 통해 감곡면 주민들의 숙원을 해결하고, 하천 범람과 농경지 침수 피해를 예방하는 안전한 하천 환경을 조성의 길이 열렸다고 설명했다. 철거된 유정교는 1985년 준공된 노후 교량으로, 전...
상북초 소호분교, 본관 개축 기념식 열어
[뉴스21 통신=최세영 ]▲ 사진=울산광역시교육청울산 울주군 상북초등학교 소호분교(교장 권의순)는 지난 26일 본관 개축 기념식을 열었다. 이번 기념식은 노후된 본관을 교육환경 변화에 맞추어 새롭게 개축한 것을 기념하고,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기념식에는 강남교육지원청 임채덕 교육장과 학교 총동...
울주군 남창들·회야강서 국제보호조 흑두루미 관찰
[뉴스21 통신=최세영 ]사진출처=조현표(새 통신원) 윤기득사진작가(시민생물학자) 사진제공=울산광역시흑두루미 먹이활동모습흑두루미 깃털을 고르는 모습흑두루미 먹이활동 모습흑두루미 논에서 먹이활동 중인 모습울산시는 울주군 회야강과 남창들 일대에서 국제보호조이자 천연기념물, 환경부 멸종위기야생생물인 ‘흑두...
울산 북부소방서, 자체점검 안내 스티커 제작·배부
[뉴스21 통신=최세영 ]▲ 스티커제작사진제공=울산광역시울산 북부소방서는 건물 화재 예방을 위해 소방시설 등의 자체 점검 안내 스티커를 제작해 배부한다고 밝혔다. 소방시설 등의 자체 점검은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매년 건축물 사용승인일을 기준으로 실시한다. 이를 어길 경우 「소방시설법」에 의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