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네이버 db 갈무리
[뉴스21 통신=추현욱 ]25일 삼성전자는 부사장 51명, 상무 93명, 펠로우 1명, 마스터 16명 등 총 161명을 승진시키는 내용의 2026년 정기 임원인사를 단행했다.
이번 승진 규모는 2021년 214명 이후 2022년 198명, 2023년 187명, 2024년 143명, 2025년 137명으로 꾸준히 감소하다 5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AI, 로봇, 반도체 등 분야에서 미래 기술을 이끌 리더들을 대거 중용하며 '기술의 삼성' 리더십을 또 한번 강조했다.
AI·로봇·반도체 등 기술 인재 대거 등용이번 인사에서 삼성전자는 미래 사업 전략을 신속히 하기 위해 AI·로봇·반도체 분야에서 역량이 입증된 인재를 등용, 미래 기술 리더십 확보에 방점을 찍었다.
디바이스경험(DX) 부문에서는 삼성리서치 데이터인텔리전스 팀장 이윤수(50) 부사장이 등용됐다. 데이터 기반 신기술·비즈 모델 개발 성과를 창출한 데이터지능화 전문가로, 개인화 데이터플랫폼의 갤럭시 적용, AI서비스를 위한 그래픽처리장치(GPU) 최적화를 리드했다는 평가다.
모바일경험(MX)사업부 언어 AI 코어기술개발그룹장 이성진(46) 부사장은 다년간 거대언어모델(LLM) 기반 생성형 AI 핵심기술 개발을 이끌어 온 전문가로 딥러닝 모델에 대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LLM 기반 대화형 플랫폼 개발을 주도했다.
반도체 사업을 맡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의 메모리사업부 솔루션플랫폼개발팀장 장실완(52) 부사장은 S/W개발 전문가로 서버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펌웨어 및 아키텍처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차세대 솔루션 플랫폼 개발 및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핵심 요소기술 확보를 주도했다.
시스템 LSI사업부의 SOC선행개발팀장 박종일(53) 부사장은 시스템온칩(SOC) 설계 전문가로 풍부한 모바일 SOC 제품 설계 경험을 통해 맞춤형 SOC 제품 개발을 리드하며 미래 사업 확대에 기여했다
상무급 기술 리더십 확보 인사도 눈길을 끈다.
MX사업부 스마트폰개발5그룹 최승기(48) 상무는 다년간 하드웨어 상품화 개발 경험 및 회로설계 전문성을 바탕으로 폴드7 초슬림·초경량 기술을 성공적으로 적용한 인물이다.
영상디스플레이(VD)사업부 제품디스플레이 랩장 김대영(48) 상무는 디스플레이 개발 전문가로 자발광 퀀텀닷(QD)와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신모델 개발을 주도해 혁신기술 상용화를 통한 제품 차별화 및 원가경쟁력 향상에 기여했다.
삼성리서치 로봇플랫폼팀장 최고은(41) 상무는 로봇 소프트웨어(S/W) 기술 전문성을 보유한 개발 전문가로 자율주행 로봇 개발, 실시간 조작 기술력 등 로봇 분야 기술경쟁력을 확보했다.
메모리사업부 D램 PA2그룹 유호인(46) 상무는 D램 공정 통합 전문가로 D램 모제품 및 고대역폭메모리 HBM4 개발을 위한 수율/양산성 확보 및 고질 불량 제어를 주도하며 D램 제품 완성도를 확보했다.
CTO 반도체연구소 플래시 TD팀 이재덕(55) 펠로우는 플래시 소자 전문가로 고성능 V-낸드 제품을 위한 신소자 개발에 나서며 제품 특성, 셀 신뢰성을 확보해 차세대 V-낸드 제품 경쟁력을 제고했다.
로직 TD1그룹 강명길(43) 마스터는 로직 소자 전문가로서 핀펫(FinFET), 게이트올어라운드(GAA) 등 신소자 개발을 이끌어 제품 성능과 파워 경쟁력을 높이며 차세대 로직 제품 개발에 기여했다.
PKG개발팀 김재춘(44) 마스터는 반도체 패키지 열특성 전문가로 모바일 AP 및 AI/HPC향 고성능 제품의 열 해석과 특성 개선을 통해 어드밴스트 패키지 제품 경쟁력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사장단 인사도 박홍근·윤장현 '기술 리더' 발탁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21일 단행한 사장단 인사에서도 기술 인재를 과감하게 발탁해 눈길을 끌었다.
삼성전자는 선행 기술 연구조직 'SAIT(옛 삼성종합기술원)' 새 수장에 박홍근 하버드대 교수를 선임했다.
1999년 32세에 하버드대 교수로 임용된 '한국인 최초 하버드대 종신교수'로 지난 2003년 이건희 선대회장 시절 호암재단으로부터 호암상 과학상을 받으며 삼성과 첫 인연을 맺은 인물이기도 하다.
삼성전자는 또 MX사업부 IoT&타이젠개발팀장, S/W플랫폼팀장, S/W담당 등을 역임했으며, 지난해 삼성벤처투자 대표이사를 맡아 AI, 로봇, 바이오, 반도체 등 유망기술 투자를 주도한 윤장현 부사장을 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사장 겸 삼성리서치장으로 승진시켰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미래 신기술 연구와 AI 주도 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각 분야 최고 기술 전문가들을 과감히 발탁해 AI 시대 기회 선점의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고창군, ‘제5회 전북특별자치도 산림환경대상’ 수상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이 지난 25일 오후 전주시청 회의실에서 개최된 ‘2025 산림환경대상’ 시상식에서 자치 부문을 수상의 영예를 않았다. ‘산림환경대상’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여 지구 온난화 방지에 기여한 공로가 큰 개인이나 단체에 수여되는 상이며, 이번 시상식은 대한민국 산림환경대상 위원회가 주최하고 전북특별...
정읍시, 민생회복 소비쿠폰 30일 종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급한 ‘1·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사용 기한이 오는 30일로 다가왔다.시는 기한이 지나면 남은 잔액이 자동으로 소멸되는 만큼, 시민들에게 잊지 말고 사용할 것을 거듭 당부했다. 정읍시가 지난 7월부터 지급한 소비쿠폰은 총 320억원 규모로, 지역 자금의 역외 유출을 막고 ...
울산여자상업고, 한국생산성본부와 산학협력 맞손
[뉴스21 통신=최세영 ] ▲ 사진제공=울산광역시교육청울산 남구 울산여자상업고등학교(교장 하해용)는 27일 한국생산성본부(KPC)와 산학협력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급변하는 산업 환경 속에서 학생들에게 실무 중심의 자격 교육과 시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특성화고의 직업교육 역량을 한 단계 높이고자 마련됐다. 협약에 따라 ...
정읍시, 홍수 위험 '오단소하천 유정교' 철거 완료, 준공 40년만에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가 27일 집중호우 시 하천 흐름을 방해해 홍수 위험을 키웠던 오단소하천 내 유정교 철거 공사를 완료했다. 시는 이번 철거를 통해 감곡면 주민들의 숙원을 해결하고, 하천 범람과 농경지 침수 피해를 예방하는 안전한 하천 환경을 조성의 길이 열렸다고 설명했다. 철거된 유정교는 1985년 준공된 노후 교량으로, 전...
상북초 소호분교, 본관 개축 기념식 열어
[뉴스21 통신=최세영 ]▲ 사진=울산광역시교육청울산 울주군 상북초등학교 소호분교(교장 권의순)는 지난 26일 본관 개축 기념식을 열었다. 이번 기념식은 노후된 본관을 교육환경 변화에 맞추어 새롭게 개축한 것을 기념하고,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기념식에는 강남교육지원청 임채덕 교육장과 학교 총동...
울주군 남창들·회야강서 국제보호조 흑두루미 관찰
[뉴스21 통신=최세영 ]사진출처=조현표(새 통신원) 윤기득사진작가(시민생물학자) 사진제공=울산광역시흑두루미 먹이활동모습흑두루미 깃털을 고르는 모습흑두루미 먹이활동 모습흑두루미 논에서 먹이활동 중인 모습울산시는 울주군 회야강과 남창들 일대에서 국제보호조이자 천연기념물, 환경부 멸종위기야생생물인 ‘흑두...
울산 북부소방서, 자체점검 안내 스티커 제작·배부
[뉴스21 통신=최세영 ]▲ 스티커제작사진제공=울산광역시울산 북부소방서는 건물 화재 예방을 위해 소방시설 등의 자체 점검 안내 스티커를 제작해 배부한다고 밝혔다. 소방시설 등의 자체 점검은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매년 건축물 사용승인일을 기준으로 실시한다. 이를 어길 경우 「소방시설법」에 의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