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KBS뉴스영상캡쳐
국내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서빙로봇이 해킹과 정보 유출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도, 현행 제도상 보안 점검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최수진 의원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 보급된 서빙로봇은 약 1만7천 대로 이 중 60%가 중국산 제품으로 추정된다. 해당 로봇들은 식당, 호텔, 공공시설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 중이다.
이들 로봇은 외부 클라우드 서버와 실시간 통신하며 영상과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조로, 정보 유출 위험이 높다는 게 최 의원의 지적이다. 그러나 KISA를 비롯한 국내 기관들은 서빙로봇의 보안 점검 권한을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KISA는 과거 로봇청소기에 대해 한국소비자원과 함께 보안 실태조사를 실시해 일부 제품의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확인하고 즉시 조치했으나, 서빙로봇은 기업 간 거래(B2B) 품목에 해당해 동일한 조사를 진행할 법적 근거가 없다고 설명했다.
KISA 관계자는 “서빙로봇은 기업 동의 없이 예방 차원의 보안 점검이나 결과 공표를 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이 없다”고 밝혔다.
최수진 의원은 “서빙로봇 등 생활밀착형 로봇이 중국 서버와 통신하는 구조를 방치한다면 언젠가 ‘한국형 빅브라더’의 통로가 될 수 있다”며 “현행 보안 인증 제도를 국내 제품뿐 아니라 수입 제품에도 확대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미국은 이미 중국산 드론과 로봇을 ‘안보 위협 장비’로 규정해 연방정부의 구매와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 유럽연합 역시 중국산 로봇의 데이터 주권 검증 절차를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새
나뭇가지에 가려 보기 힘든 새(사진=추현욱 기자)
GTX 운정 풍경
광주시, 고려인주민 지원사업 국비 1억여원 확보
[뉴스21통신/장병기 기자] 광주광역시는 재외동포청 ‘2026년 지역별 재외동포 정착지원 공모’에 ‘고려인주민 광주정착지원사업’이 선정, 국비 1억1670만원을 확보했다.‘고려인주민 광주정착지원 사업’은 광주지역 고려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사업이다.광주시는 올해 국비 1.
광주소방, 무등산서 가을철 안전산행 캠페인
[뉴스21통신/장병기 기자] 광주광역시 소방안전본부는 26일 무등산국립공원 증심사지구 탐방안내센터에서 안전한 산행 문화 확산을 위한 ‘2025 가을철 산악안전의 날’ 행사를 개최했다.행사에는 광주소방안전본부·동부소방서·무등산국립공원사무소·무등산119시민산악봉사대·의용소방대 등 70여 명이 참여해 ▲등...
광주광역시, ‘독도의 날’ 기념 실시간 독도 영상 송출
[뉴스21통신/장병기 기자] 광주광역시는 ‘독도의 날 ’지난 (10월 25일)을 맞아 시민들의 독도 인식 제고를 위해 시정홍보 전광판에 실시간 독도 영상을 송출했다. 지난 25일 오전 10시 25분부터 서구 금호동 빛고을국악전수관, 빛고을로 입구, 농성역사 등에 설치된 대형 전광판을 통해 독도의 생생한 모습을 공개한 것이다.이번 영상은 .
‘로맨스스캠’피해액 1,000억 원 돌파... 검거율은 50%도 안돼
[뉴스21통신/장병기 기자] 올해 ‘로맨스스캠’(연애 빙자 사기) 피해액이 1,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시을)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1월~9월) 로맨스스캠 피해액은 1,000억 원, 피해 사건 수는 1,565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2월~12월) 대비 피해액은 325억 원(48%), ..
광주서부교육지원청, 한국-싱가포르 ‘다가치’ 국제 교류
[뉴스21통신/장병기 기자] 광주광역시서부교육지원청(이하 광주서부교육지원청)은 20~25일 4박6일 일정으로 싱가포르 일대에서 ‘글로벌 리더 다가치 세계 한 바퀴 프로그램’을 운영했다.이번 프로그램은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성을 높이고 다문화 감수성을 갖춘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고자 마련됐다.프로그램에는 싱가포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