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시총 700조 증발...바이든은 對中 규제, 트럼프는 대만 TSMC 압박
  • 추현욱 사회2부기자
  • 등록 2024-07-18 17:50:52

기사수정



올 들어 글로벌 증시 랠리를 이끈 반도체 주가가 일제히 곤두박질쳤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대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를 강화하기로 한 데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만 방어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공포 장세’가 펼쳐졌다. 글로벌 금융시장이 오는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변동폭을 확대하는 모습이다.


18일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전일 대비 2.51% 떨어진 40,121.5로 장을 마쳤다. 도쿄일렉트론(-8.75%) 등 반도체 종목이 일제히 약세를 띤 영향이다. 장중 심리적 지지선인 40,000선 붕괴 위기까지 몰렸다. 대만 자취안지수는 0.95% 내린 23,769.82에 장을 마쳤다. 대장주인 TSMC가 2.43% 하락한 영향이 컸다. 코스피지수도 SK하이닉스(-3.63%) 한미반도체(-3.63%) 등이 하락하며 0.67% 떨어졌다.

전날 뉴욕증시에서는 엔비디아가 전 거래일보다 6.62% 내린 117.99달러에 장을 마치며 시가총액이 3조달러 아래로 내려갔다. AMD(-10.21%)와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업체 ASML(-12.74%)은 두 자릿수 하락률을 나타내며 급락했다. 퀄컴(-8.61%), 브로드컴(-7.91%), 델테크놀로지(-6.74%), 마이크론테크놀로지(-6.27%) 등 반도체주 대부분이 5% 이상 하락했다. 반도체 관련 종목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6.81% 떨어져 2020년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올 들어 거침없던 반도체주 상승세에 지정학적 위험이 제동을 걸었다”고 분석했다.

전날 바이든 행정부가 일본·네덜란드 정부에 도쿄일렉트론 ASML 등의 대중 반도체 장비 수출을 규제하지 않으면 ‘최대 강도 제재’를 가하겠다고 통보했다는 소식과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만은 방어를 위해 우리에게 돈을 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한 블룸버그 비즈니스위크와의 인터뷰 발언이 알려진 여파라는 의미다.

외환시장도 출렁였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전날 인터뷰에서 “엔화 약세가 아주 큰 문제”라고 한 데 따른 것이다. 엔·달러 환율은 지난 16일 이후 1.14% 하락(엔화 가치 상승)해 이날 156.3엔대(오후 3시 기준)에 거래됐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7% 뚝…"對中제재 더 강화하지 않으면
美가 나선다" 동맹국에 경고…ASML 中 매출 4분기째 늘어

글로벌 증시가 반도체주를 중심으로 미국 대선발(發) 뉴스에 요동치고 있다. 오는 11월 미국 대선에서 당선 가능성이 커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이 나올 때마다 시장이 반응하는 데다 조 바이든 행정부도 대중 무역 제재 강화 등 선거를 겨냥한 정책을 쏟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바이든·트럼프’ 겹악재 싸인 반도체

18일 아시아 주요 증시와 전일 뉴욕증시를 뒤흔든 건 미국 정부가 반도체 산업에서 중국에 대한 제재를 강화할 계획이라는 블룸버그통신의 보도였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동맹국 반도체 업체가 중국의 첨단 반도체 기술 접근을 계속 허용하면 가장 엄격한 무역 제한 조치를 시행할 전망이다. 동맹국들이 자체적으로 대중국 제재를 강화하지 않으면 미국이 나설 수도 있다는 일종의 사전 경고다. 이 때문에 매출에서 중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50% 안팎인 네덜란드 ASML과 일본 도쿄일렉트론 주가가 급락했다. 전날 네덜란드 주식시장에서 ASML 주가는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폭인 11% 하락하며 870.90유로로 장을 마쳤다. 427억유로(약 64조4390억원)가량의 시장 가치가 증발했다.

공화당 대선 후보인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도 반도체주에 부담을 줬다. 전일 트럼프 전 대통령은 블룸버그 비즈니스위크와의 인터뷰에서 대만이 미국에 방위비를 지급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대만이 미국 반도체 사업의 100%를 가져갔다고 비판했다. CNBC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은 오는 11월 대선에서 승리했을 때 중국의 공격이 있으면 대만을 방어하겠다는 미국의 약속에 의문을 던지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며 반도체 주가는 급락했다. 17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가 전 거래일보다 6.81% 급락하며 반도체주 시가총액이 5000억달러 증발했다. 마켓워치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20년 3월 이후 미국 증시에 닥친 ‘최악의 하루’”라고 평가했다.

○변동폭 커지는 증시

반도체주 급락은 일시적인 주가 조정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기업 호실적이 잇따르고 있어 반등할 여력이 충분하다는 관측도 있다. 이날 TSMC는 올해 2분기(4∼6월) 순이익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36% 증가한 2478억 대만달러(약 10조5000억원)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블룸버그 전망치 2350억대만달러를 웃도는 결과다. TSMC는 올해 3분기 매출이 작년 동기(173억달러) 대비 최대 34% 늘어난 224억∼232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문제는 정치적인 변수가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11월 미국 대선이 다가올수록 증시 변동폭이 확대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지정학적 리스크 역시 점차 커지는 움직임이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 이후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이 무역과 국가안보 개념을 정치화했다”고 지적했다. 요미우리신문은 이날 중국군이 1주일 이내에 지상 부대를 대만에 상륙시킬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일본 정부가 분석했다고 보도했다. 기관투자가들은 ASML의 대중국 수출 증가가 미국과 네덜란드 정부 간 외교적 긴장까지 야기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시장 전문가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하면 반도체 동맹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 때문에 엔비디아로 대표되는 기술주가 지속적으로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스콧 부르너 골드만삭스 글로벌마켓 전무는 “미국 증시 조정은 이제 시작 단계”라며 “이날을 기점으로 증시가 조정을 위한 주요 전환점을 맞았다”고 말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국도5호선 강제동 도로포장 보수공사 ‘부실 논란’…특허공법·재활용 아스콘 사용 여부도 도마 위 충북 제천시 명지동 245-5번지, 662-5번지 일원 지방도 합류로 와 국도 5호선 강제동 구간에서 최근 진행된 도로포장 공사가 ‘부실시공’ 논란에 휩싸였다.포장 직후임에도 도로 표면이 울퉁불퉁하고 요철이 심해 “새 도로라고 보기 어렵다”는 민원이 잇따르면서, 공정관리 및 특허공법 적용 과정에 대한 전면 점검이 필요하다...
  2. [1보] 이재명 대통령, 남아공서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과 첫 회담 [1보] 이재명 대통령, 남아공서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과 첫 회담
  3. [속보] 메르츠 獨총리, "한반도·北 상황에 관심…한국의 대중국 인식 궁금" 메르츠 獨총리 "한반도·北 상황에 관심…한국의 대중국 인식 궁금"
  4. “도심 속 힐링 명소 태화강국가정원, 겨울 문턱에 감성 더하다” [뉴스21 통신=최세영 ]초겨울 햇살 속에서 울산 태화강국가정원이 황금빛 억새와 고즈넉한 수변 풍경을 드러내며 시민들의 발길을 사로잡고 있다. 십리대숲을 따라 흐르는 강바람, 부드러운 정원길, 그리고 무장애 탐방로까지 갖춘 국가정원은 계절마다 새로운 풍경을 선사하며 울산의 대표 관광지로 자리 잡고 있다.태화강국가정원은 2020년...
  5. 파주시, 내년 설 명절 전후 1인당 10만원 ‘기본생활안정지원금’ 지급...예산안, 시의회 통과하는 대로 [뉴스21 통신=추현욱 ]파주시가 소비 증진과 민생 안정을 위해 내년 초 시민들에게 1인당 10만원의 ‘기본생활안정지원금’을 지급한다.25일 국내 유력 매체에 따르면 최근 파주시는 파주시의회에 예산안을 제출했다. 여기에 기본생활안정지원금과 관련된 내용이 담겼다. 총 사업비는 531억원 규모다. 지원금은 지역 화폐인 파주페이로 .
  6. “존엄하게, 동등하게”…울산 자원봉사 현장에 인권의 기준 세우다 [뉴스21 통신=최세영 ]▲ 사진제공=손덕화울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자원봉사센터(이사장 김종길)는 11월 21일 오후 울산광역시청 시민홀에서 지역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인권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존엄하게 동등하게-인권으로 물드는 자원봉사 현장’을 주제로, 인권교육센터 ‘들’의 전문강사들이 참여해 자원봉.
  7. 고성군 반암항 '어촌뉴딜' 실상은 '유령 계원'놀이터? (강원 고성 =서민철 기자) 총사업비 100억 원 이상이 투입된 강원도 고성군 '반암항 어촌뉴딜 300' 사업이 어촌계의 불투명한 운영과 행정 당국의 관리 감독 부실로 인해 좌초 위기에 처했다. 특히 어촌계 운영을 좌지우지하는 계원 중 상당수가 실제 거주하지 않는 '위장 전입자'라는 의혹이 제기됐으나, 고성군과 거진읍은 형식...
역사왜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