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위 실장은 경주 국제미디어센터(IMC) 브리핑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한중 정상회담 성과를 상세히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이번 회담을 통해 △한중 관계 복원 △경제협력 강화 △민생·평화 기여 노력이라는 성과를 거뒀다는 취지다. 시 주석은 이 대통령에게 중국 방문을 요청하기도 했다.
부침을 겪었던 한중 관계가 본궤도로 돌아왔다는 메시지다. 위 실장은 “환경 변화 속에서도 국권피탈 시기를 함께했던 경험과 양국의 경제성장을 견인했던 호혜적 성격에 변함이 없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시대 변화에 발맞춘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발전을 추진하자는 데 뜻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한중 관계를 계속 발전시키기 위해 정부 간 정치적 신뢰를 확보하고 민간 차원에서도 우호적 신뢰를 축적할 수 있도록 계기를 마련하기로 했다. 위 실장은 “고위급에선 정례 소통 채널을 가동해 현안과 지역 이슈에 대한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정치뿐 아니라 경제 분야에서도 협력을 늘려나갈 계획이다. 2009년부터 이어졌던 한중 통화스왑 계약을 연장하고,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서비스·투자 협상에 속도를 내기로 한 것이다. 위 실장은 “지방경제 활성화를 협의하고 공급망 안정화도 북한·한반도 이슈를 놓고서도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위 실장은 “한반도 평화·안정에 관한 중국의 정책적 입장은 유지된다는 걸 여실히 알 수 있었다”며 “양측은 역시나 미북 대화가 가장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설명했다.
양국은 북핵 문제가 과거와는 달라졌다는 공감대도 형성했다. 6자회담이 이뤄졌던 과거와 비교하면 북한의 핵 능력이 고도화됐기 때문이다. 한국이 핵추진 잠수함을 추진하는 것을 두고서는 미묘한 입장 차이가 드러나기도 했다.
위 실장은 “우리 정부는 북한 비핵화에 대한 중국의 건설적 역할을 당부했고, 시 주석은 한반도 평화와 동북아 안정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했다”고 밝혔다. 중국이 한반도 비핵화에는 포괄적으로 동의하며 기존 입장을 유지했으나 핵추진 잠수함 건조에는 반발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도 읽히는 대목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을 마치고 핵추진 잠수함에 동의한다는 뜻을 밝히자 중국 외교부는 “한미 양국이 핵 비확산 의무를 실질적으로 이행하고 지역 평화·안정을 촉진하는 일을 하지, 반대를 하지 않기를 희망한다”는 입장을 낸 바 있다
제52회 고창모양성제 답성놀이 열려
뉴스21통신 동영상 등록 방법

목록으로

이종호 11시간30분 만에 특검 조사 종료…"임성근과 술자리 안해"
대통령실, “한중 관계 복원이 최대 성과”…한반도 비핵화 입장 재확인
제52회 고창모양성제 답성놀이 열려
한강버스 한달만에 정식운항 재개… 시민단체, 한강버스 운항 재개 중단 촉구 시위
강서구, 진교훈 구청장과 정근식 서울시교육감 서울퓨처랩 방문



